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동아시아 지역 인권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적 협력방안

  • 작성일2022.01.28
  • 조회수435

동아시아 지역 인권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형사정책적 협력방안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김경찬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부참여연구자 신동일, 이준표, Amelya Gustina, Tanatthep Tianprasit, Ya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21년 12월 등록일 2022.01.28
페이지 450 분류기호 20-A-08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0,000원 보고서유형 기본연구보고서
ISBN 979-11-91565-17-1 표준분류 일반공공행정 및 공공안전 > 공공행정 및 공공안전일반
연구유형 정책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국문요약 1 제1장 (김경찬) 서 론 1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 16 제3절 연구의 한계 18 제2장 (신동일) 지역적 인권보호와 안전 25 제1절 기본이해 27 1. 전쟁론 29 2. 그로티우스와 교회법 32 3. 규범주의의 발전과정 37 가. 미국의 통합 사법관할권 39 나. 창설조약 41 다. 유럽연합과 주권론 43 제2절 보편 사법관할권 계획 46 1. 이론 46 가. 통합 거버넌스를 위한 설명 모델 46 나. 현대 이론 50 다. 호네트의 승인이론(엄격한 규범주의) 53 라. 요약과 새로운 문제점 56 2. 동아시아 문제 58 가. 문제의 근원 58 나. 협력관계를 위한 상호적 이해 64 다. 새로운 전략 69 제3절 동아시아 지역 형사법관련 선행연구 71 제3장 (김경찬・이준표・Amelya Gustina・Tanatthep Tianprasit・ Yada Dejchai) 동아시아 지역의 인권보호와 안전의 취약성과 문제점 75 제1절 동아시아 지역 인권침해와 안전관련 주요 사례와 문제점 77 1. 동북아 지역 인권침해와 초국가적 범죄, 안전관련 주요 사례 현황과 문제점 79 가. 19~20세기의 동북아 지역 인권침해와 인권보호의 취약성 79 나. 한국/북한 80 (1) 사형제도 80 (2) 마약범죄 82 (3) (강제)실종과 재외국민 범죄피해 관련문제 84 (4) 코로나(Covid-19)와 안전 등 87 다. 중국 89 (1) 사형제도 89 (2) 마약범죄 90 (가) 중국 마약범죄 입법관련 91 (나) 중국 마약범죄와 중형주의 형사정책 93 (다) 중국 마약범죄와 사형제도 98 (라) 중국 신종 마약범죄의 규제관리 106 (마) 중국 마약관련 특별법 집행 108 (바) 중국 인터넷 마약범죄 단속 109 (사) 중국 마약범죄 대응 국제협력 110 (아) 중국 마약범죄 현황 보고서 113 (자) 중국 마약범죄의 처벌과 처우 113 (차) 중국 마약근절 홍보 및 교육 강화 114 (카) 중국 마약통제 중 지역사회의 역할 강화 115 (타) 중국 마약범죄 대응역량의 통합발휘 필요성 116 (3) 중국 (강제)실종과 인신매매 116 (가) 중국 인신매매범죄의 개념, 유형 및 대표 사례 117 (나) 중국 인신매매 단속을 위한 법률 관리 체계 120 (다) 국제적 측면에서의 다국적 인신매매 단속을 위한 국제협력 126 (라) 지역 간 정부 협력 및 국제기구 협력 129 (마) 인신매매 피해자의 권리 보호 131 (바) 중국의 인신매매 방지협력 의지 134 (4) 코로나-19와 안전 등 135 라. 일본 136 (1) 사형제도 136 (2) 마약범죄 136 (3) 강제 실종 137 (4) 코로나-19와 안전 등 138 마. 몽골 139 (1) 사형제도 139 (2) 마약범죄 140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41 (4) 코로나-19와 안전 142 2. 동남아 지역 인권침해 초국가적 범죄, 안전관련 주요 사례 현황과 문제점 143 가. 19~20세기 동남아 지역 인권침해와 인권보호의 취약성 143 나. 필리핀 144 (1) 사형제도 144 (2) 마약범죄 144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46 (4) 코로나-19 147 다. 인도네시아 148 (1) 사형제도 148 (가) 사형규정 법률 148 (나) 사형집행과 선고 151 (다) 사형제도 찬반론 158 (라) 사형제도 분석과 검토 160 (2) 마약범죄 162 (가) 마약범죄와 사형 162 (나) 마약관련 입법 논쟁 168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69 (4) 강제실종 170 (5) 코로나-19 173 (6) 인도네시아 국가인권위원회 관련 174 (가) 국가인권위원회 설립과 지위 174 (나) 국가기관으로서의 독립성 관련 174 (다) 권한부족과 권한분쟁의 잠재성 175 (7) 정부 내 인권 부서 177 (8) 아세안(ASEAN)과의 인권보호 협력 177 (9) 한국과의 인권보호 협력 178 라. 싱가포르 179 (1) 사형제도 179 (2) 마약범죄 181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82 (4) 코로나-19 182 마. 말레이시아 183 (1) 사형제도 183 (2) 마약범죄 184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85 (4) 코로나-19 187 바. 브루나이 188 (1) 사형제도 188 (2) 마약범죄 190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90 사. 베트남 191 (1) 사형제도 191 (2) 마약범죄 193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93 (4) 코로나-19 194 아. 미얀마 195 (1) 사형제도 195 (2) 마약범죄 196 (3) 재외국민 범죄피해 197 (4) 코로나-19 197 자. 캄보디아 198 (1) 사형제도 198 (2) 마약범죄 199 (3) 재외국민 범죄피해 200 (4) 코로나-19 201 차. 라오스 201 (1) 사형제도 201 (2) 마약범죄 202 (3) 재외국민 범죄피해 203 (4) 코로나-19 204 카. 태국 204 (1) 사형제도 204 (가) 사형규정 법률과 현황 204 (나) 사형제도 존폐 논쟁 208 (다) 사형제도와 태국 국가인권위원회(NHRCT) 입장 209 (라) 사형폐지 계획과 관련법안 209 (2) 마약범죄 212 (가) 마약범죄 관련현황 212 (나) 마약범죄 관련기관과 대응협력 214 (다) 마약범죄와 형벌 및 처우 217 (라) 마약범죄 중독치료 등 219 (3) 재외국민 범죄피해 220 (4) 인신매매와 피해자 지원정책 222 (5) (강제)실종 225 (가) (강제)실종 사례와 현황 225 (나) 발리 프로세스(Bali Process) 와 총리령 228 (다) 강제실종 방지관련 법적 대응 229 (라) 강제실종관련 노력과 정책 229 (6) 코로나-19 230 (7) 국가인권위원회 설립과 책무 233 (8) 정부의 인권보호 활동 234 (가) 경찰・검찰의 인권보호 역할 234 (나) 법무부 소속 ‘권리와 자유보호국’ 235 (9) 민간 인권단체의 역할 236 (10) 아세안과의 협력 238 (11) 한국과의 인권협력 241 제2절 동아시아 지역 인권논의, 인권기구, 인권협력의 취약성 등 243 1. 동북아 지역 인권논의, 인권기구, 인권협력 관련 취약성 243 가. 동북아 국가 인권논의 취약성 243 (1) 중국 인권논의의 취약성 244 (2) 일본 인권논의의 취약성 247 (3) 북한 인권논의의 취약성 247 나. 동북아 인권기구의 취약성 248 다. 인권 시민단체 관련 249 2. 동남아 지역 인권논의, 인권기구, 인권협력 관련 취약 250 가. 동남아 인권논의 취약성 250 나. 동남아 국가 인권기구의 취약성 254 다. 인권 시민단체 관련 256 라. 아세안 협력 관련 258 제4장 (김경찬・이준표) 동아시아 지역 인권침해 방지와 상호협력 263 제1절 동아시아 지역 인권침해 방지과제 265 1. 사형제도 폐지 관련 265 가. 동북아 지역 국가 265 나. 동남아 지역 국가 266 다. 소결 268 2. 마약범죄 대응 관련 268 가. 동북아 지역 국가 268 나. 동남아 지역 국가 271 3. 재외국민 범죄피해 등 관련 276 4. 코로나-19 등 안전 관련 280 가. 동북아 지역 국가 280 나. 동남아 지역 국가 281 제2절 동아시아 지역 인권침해 방지를 위한 상호협력 285 1. UN 등 국제기구와의 협력 285 가. 동북아 지역 285 나. 동남아 지역 286 2. 인권기관과 정부 인권부서의 협력 287 가. 동북아 지역 288 나. 동남아 지역 290 다. 소결 291 3. 형사사법공조와 상호협력 292 4. 시민단체의 참여와 역할 293 가. 동북아 지역 시민단체 293 나. 동남아 지역 시민단체 294 5. 기존 동아시아 지역 관련 협력 논의 296 가. 평화・인권・범죄대응 관련 296 (1) 제주포럼과 제주인권포럼 296 (2) 광주 세계인권도시포럼 297 (3) 동북아 형사정책 포럼 298 (4) 마약퇴치 관련 국제협력 299 (5) 아시아태평양 의회포럼 (Asia Pacific Parliamentary Forum, APPF) 299 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301 (1) 아셈(ASEM) 회의 301 (2) 두만강 포럼 등 301 다. UN 협력기관 관련 302 라. 인권기구 관련 303 6. 동아시아 인권․형사법무 교육․연수 프로그램 305 제5장 (김경찬) 동아시아 지역 인권보호를 위한 향후 과제 313 제1절 동아시아 인권선언 315 1. 어려움과 아쉬움 315 2. 다양한 주체의 참여확대 필요성 316 제2절 동아시아 인권체제 317 1. 현실적인 어려움 317 2. 여러 가지 시도들 318 3. 실천과 방법 319 4. 우선 가능한 영역범위와 방법으로 321 제6장 (김경찬) 결론 323 참고문헌 331 Abstract 371 부록 385 부록1 검찰의 인권보호관 및 인권보호담당관 운영에 관한 지침 385 부록2 검찰의 직접수사 개시 사건 인권보호관 점검 지침 389 부록3 경찰 인권보호 규칙 393 부록4 인권보호 수사규칙 408 부록5 아시아 인권헌장 430 부록6 동아시아 인권・평화 옴부즈퍼슨(Ombudsperson) 회원 가입신청서 450

첨부파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