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국제형사재판소 관할범죄에 관한 이론 및 사례 연구

  • 작성일2022.01.28
  • 조회수708

국제형사재판소 관할범죄에 관한 이론 및 사례 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박경규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외부참여연구자 김성규, 김세욱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21년 12월 등록일 2022.01.28
페이지 229 분류기호 21-A-10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0,000원 보고서유형 기본연구보고서
ISBN 979-11-91565-20-1 표준분류 일반공공행정 및 공공안전 > 공공행정 및 공공안전일반
연구유형 정책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국문요약 1 제1장 (박경규) 서 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9 1. 국제형사재판소의 설립, 조직・구성 및 법원(法願) 9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2 제2장 (박경규) ICC에서의 형사절차 진행 개관 및 사태・사건의 현황 15 제1절 ICC에서의 형사절차 진행 개관 17 1. 서설 17 2. 사태회부 및 예비조사 18 3. 수사 및 기소 25 4. 공소사실확인심리 28 5. 1심재판 29 6. 상소심재판 30 제2절 사태 및 사건의 현황 31 제3장 (김성규) 간접적 공동정범(indirect co-perpetration)의 의의 및 법리적 문제점 37 제1절 서설 39 제2절 로마규정 제25조 제3항의 해석론 43 1. 로마규정 제25조 제3항에 따른 범행가담형태 43 2. 정범과 공범의 구별 45 3. 정범과 공범을 구별하는 기준으로서의 ‘범행지배(control over the crime)’ 47 제3절 간접적 공동정범의 의의 52 1. 공동정범(co-perpetration)의 개념 53 2. 간접정범의 개념 57 3. 간접적 공동정범(indirect co-perpetrator)의 개념 및 그 법리의 적용 60 제4절 간접적 공동정범의 법리와 법률주의 66 1. 로마규정 제25조의 해석과 간접적 공동정범 67 2. 로마규정 제21조와의 관계 79 제5절 간접적 공동정범의 법리와 개인책임의 원칙 81 1. Kenyatta and Muthaura 사건 및 Al-Bashir 사건에 있어서의 간접적 공동정범의 경우 81 2. Katanga and Chui 사건 및 Bemba 사건 등에 있어서의 간접적 공동정범의 경우 85 제6절 정리 및 전망 87 1. 간접적 공동정범의 법리에 관해 제기되는 문제점 87 2. Ntaganda 사건에 대한 결정의 시사점 89 3. 범행지배설에 대한 비판과 그 과제 92 4. 간접적 공동정범의 법리의 보편화? 93 제4장 (박경규) 같은 무장집단 구성원에게로 가해진 성폭력범죄에서 전쟁범죄의 성립여부 97 제1절 문제의 소재 99 1. 로마규정상 ‘전쟁범죄로서의 성범죄’ 99 2. 전쟁범죄의 상호주의적 기원 101 제2절 Ntaganda 사건 104 1. 관련 공소사실 104 2. 공소사실확인결정(2014.6.9.)에서 예심재판부의 판단 106 3. 피고인의 관할권 항변에 관한 상소심재판부의 판단 108 4. 1심판결(2019.7.8.) 112 5. 상소심판결(2021.3.30.) 115 제3절 검토 및 시사점 116 1. 검토 116 2.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시사점 120 제5장 (박경규) 공소장변경 제도 123 제1절 공소장 변경 제도 개관 125 1. 공소장 제출 후 공소사실확인심리 개시 전 125 2. 공소사실확인 심리 단계 126 3. 공소사실확인결정 후 1심공판 개시 전 128 4. 1심공판 단계 130 제2절 쟁점별 검토 132 1. 피의자/피고인의 권리 보장 132 2. ‘사실과 정황을 초과할 수 없다’의 의미 및 판단기준 138 3. 피해자의 공소사실변경 신청: Lubanga 사건 144 4. ‘No case to answer 판결’과의 관계 146 제6장 (김세욱) ICC 피해배상의 최근 동향 149 제1절 도입 151 1. ICC 피해배상 제도의 배경 및 법적 근거 151 2. ICC에서의 피해배상명령 현황 152 3. 논의 전개 방식 154 제2절 피해배상 원칙의 확장 155 1. Lubanga 상소심 배상판결의 의미 155 2. Ntaganda 배상명령으로 확대된 피해배상 원칙 157 제3절 피해배상책임 범위의 확정 162 1. 피해액을 정하는 방법과 기준 163 2. 공범자의 존재로 인한 책임 제한 가부 169 제4절 피해배상의 종류(type): 집단배상과 개별배상 172 1. 집단배상과 개별배상의 개념과 장ㆍ단점 172 2. 이른바 ‘개별적 요소를 갖춘 집단배상’ 174 3. 배상 종류 간 우선순위 175 제5절 피해배상의 방식(modalities) 176 1.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피해배상의 방식 176 2. Ntaganda 피해배상명령에서 정한 방식 177 3. 피해배상 방식에 관한 피해자들의 선호도 177 제6절 피해배상 실행계획안(Draft Implementation Plan) 178 1. 피해자신탁기금을 통한 피해배상의 근거 178 2. 피해자신탁기금에 의한 실행계획안의 제출 179 3. 실행계획안 제출 후의 절차 179 4. 피해배상 실행계획의 구체성 정도 180 제7절 ICC 피해배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183 1. ICC 피해배상 제도의 한계와 현행 체계에 대한 비판 183 2. ICC 피해배상의 개선방안 및 향후 과제 195 제8절 ICC 피해배상제도가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203 1. ICC 피해배상 제도에서 착안할 사항 204 2. ICC 피해배상과 국내 피해배상 간의 관계 205 제9절 소결 207 제7장 (박경규) 맺음말 209 참고문헌 217 Abstract 227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21-A-10_국제형사재판소 관할범죄에 관한 이론 및 사례연구_내지 최종.pdf (1.53MB / 다운로드 460회) 다운로드
  • 전체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