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첨단 과학수사 정책 및 포렌식 기법 종합발전방안 연구(IV): 국가안보·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유관 법제도 및 정책 평가

  • 작성일2022.01.28
  • 조회수1,799

첨단 과학수사 정책 및 포렌식 기법 종합발전방안 연구(IV): 국가안보·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유관 법제도 및 정책 평가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김한균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한균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이경렬, 김대원, 박웅신, 김기범, 권양섭, 주문호, 신수민, 김면기, 박원규, 염윤호,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21년 12월 등록일 2022.01.28
페이지 964 분류기호 21-CB-01, 21-83-01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5,000원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ISBN 979-11-91565-29-4 표준분류 일반공공행정 및 공공안전 > 공공행정 및 공공안전일반
연구유형 정책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국문요약 1 총괄서론 (김한균) 43 제1장 연구의 의의와 목적 46 제1절 과학수사 정책ㆍ법제ㆍ기법의 종합연구를 통한 국가정책 체계화 필요성 46 제2절 국가안보 및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정책 및 포렌식 기법연구의 의의와 목적 47 1. 과학수사정책의 지향가치로서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 47 2. 선행연구와의 연관성 59 3. 국가안보 및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정책적 연구과제 62 제2장 연구의 구성과 방법 66 제1절 연구의 체계 66 제2절 연구의 구성과 방법론 67 1. 국내 국가안보ㆍ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주요과제와 현안분석 67 2. 국외 국가안보ㆍ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주요과제와 현안분석 68 3. 국민안전을 위한 재난사고 디지털포렌식 주요과제와 현안분석 68 4.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바이오포렌식 주요과제와 현안분석 70 5.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와 법심리학의 주요과제와 현안분석 71 제1부 (김한균ㆍ이승현) 국내 국가안보ㆍ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주요 과제와 현안분석 73 제1장 국가안보관련 수사와 과학수사 및 포렌식의 역할 76 제1절 국가안보사건 수사와 과학수사의 법제 76 1. 국가안보의 형사법제적 기반과 형사정책적 이해 76 2. 국가안보 수사기관의 체계 81 3. 국가안보사건과 과학수사 규정 83 제2절 국가안보사건 수사와 과학수사의 역할 86 1. 국가안보사안 특성에 비추어 본 과학수사의 필요성 및 적합성 86 2. 검찰의 국가안보 과학수사 정책 92 3. 경찰의 국가안보 과학수사 정책 93 4. 국가정보원의 국가안보 과학수사 정책 95 제3절 국가안보사건 수사에서 과학수사 관련문제 분석평가 95 1. 1998년 영남위원회 사건 95 2. 2006년 일심회 간첩 사건 97 3. 2008년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사건 102 4. 2009년 범민련 사건 104 5. 2013년 서울시 공무원 간첩혐의 사건 106 6. 2011년 지하당 왕재산 사건 110 7. 2013년 통진당 내란선동 사건 112 8. 2015년 코리아연대 사건 114 제4절 소결 116 제2장 국민안전관련 수사와 과학수사 및 포렌식의 역할 118 제1절 국민안전관련 수사 및 과학수사 법제 118 1. 국민안전의 형사법제적 기반과 형사정책적 이해 119 2. 국민안전사건 수사기관의 체계 120 3. 국민안전사건과 과학수사 규정 124 제2절 국민안전사건 과학수사와 포렌식의 역할 135 1. 국민안전 사안의 특성과 과학수사의 필요성 및 적합성 135 2. 경찰의 국민안전 과학수사 138 3. 검찰의 국민안전 과학수사 141 4.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과학수사 및 포렌식 역할 146 5. 환경부 디지털포렌식센터 150 6.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포렌식센터 151 7. 소결 154 제3절 국민안전사건 수사에서 과학수사의 관련문제 분석평가 155 1. 2014년 세월호 사건에서의 과학수사의 역할 155 2. 2011년 ‘가습기살균제 사건’에서의 과학수사의 역할 161 3.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사건에서의 과학수사의 역할 165 4. 2014년 경주마우나리조트 체육관 붕괴사고에서의 과학수사의 역할 168 제4절 소결 169 제3장 국가안보사안 주요판례의 과학수사 평가 분석 172 제1절 1999년 영남위원회 사건 판례 172 1. 주요 사실관계 172 2. 판결요지 173 3. 과학수사 관련 쟁점 174 제2절 2007년 일심회 사건 판례 175 1. 주요 사실관계 175 2. 판결요지 176 3. 과학수사 관련 쟁점 177 제3절 2013년 왕재산 사건 판례 179 1. 주요 사실관계 179 2. 판결요지 180 3. 과학수사 관련 쟁점 183 제4절 2014년 통진당 내란선동 사건 판례 184 1. 주요 사실관계 184 2. 판결요지 186 3. 과학수사 관련 쟁점 188 제5절 2015년 코리아연대 사건 판례 189 1. 주요 사실관계 189 2. 판결요지 190 3. 과학수사 관련 쟁점 191 제6절 소결 193 제4장 국민안전사안 주요판례의 과학수사 평가 분석 196 제1절 2014년 세월호사건 판례 196 1. 주요 사실관계 196 2. 판결요지 197 3. 과학수사의 쟁점 199 제2절 가습기살균제 사건 판례 200 1. 주요 사실관계 200 2. 판결요지 201 3. 과학수사의 쟁점 204 제3절 2003년 대구지하철 화재사건 판례 207 1. 주요 사실관계 207 2. 판결요지 207 3. 과학수사의 쟁점 208 제4절 2014년 경주마우나리조트 붕괴사건 판례 210 1. 주요 사실관계 210 2. 판결요지 210 3. 과학수사의 쟁점 211 제5절 2021년 드론을 이용한 성관계 촬영사건 판례 212 1. 주요사실관계 212 2. 판결요지 212 3. 과학수사의 쟁점 213 제6절 소결 213 제5장 정책적 시사점 215 제1절 국가안보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정책의 과제 215 1. 현행 법제의 개선 과제 215 2. 판례분석에 따른 법적 정비 과제 216 3. 국가정책적 개선과제 216 4. 비교법제적 분석에 따른 정책방안 도출 217 제2절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정책의 과제 218 1. 현행 법제의 개선과제 218 2. 판례분석에 따른 정비과제 219 3. 국가과학수사 정책적 개선과제 221 4. 판례분석에 따른 정비과제 224 5. 국가과학수사 정책적 개선과제 226 제2부 (이경렬ㆍ김대원ㆍ박웅신) 국외 국가안보ㆍ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주요 과제와 현안분석 229 제1장 주요국가 국가안보관련 과학수사 주요법제 및 사례 분석 232 제1절 미국 232 1. 들어가며 232 2. 미국의 국가안보 관련 법제 233 3. 미국의 국가안보 관련 기관 269 4. 국가안보 관련 과학수사 사례 289 제2절 영국 310 1. 들어가며 310 2. 영국의 국가안보 상황 분석 311 3. 영국의 국가안보 관련 법제 312 4. 영국의 국가안보 관련 기관 320 5. 국가안보 관련 과학수사 사례 326 제3절 독일 332 1. 들어가며 332 2. 독일의 국가안보 관련 법제 333 3. 독일의 국가안보 관련 기관 346 4. 국가안보 관련 과학수사 사례 359 제4절 일본 381 1. 들어가며 381 2. 일본의 국가안보 관련 체계 및 법제 382 3. 일본의 국가안보 및 사이버안보 관련 기관 387 4. 국가안보 관련 과학수사 사례 394 5. 소결 및 과학수사 관련 시사점 395 제2장 주요국가 국민안전관련 과학수사 주요 법제 및 사례 분석 396 제1절 미국 396 1. 들어가며 396 2. 미국의 국민안전 관련 법제 397 3. 미국의 국민안전 대응조직 402 4.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사례 408 제2절 영국 413 1. 들어가며 413 2. 영국의 국민안전 관련 법제 – 기업과실치사죄를 중심으로 414 3.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사례 416 제3절 독일 419 1. 들어가며 419 2. 독일의 국민안전 관련 법제 420 3. 독일의 국민안전 대응조직 422 4.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사례 425 제4절 일본 434 1. 들어가며 434 2. 일본의 국민안전 관련 법제 – 사인규명체계를 중심으로 436 3. 일본의 국민안전 대응조직 – 사인 규명 등 추진 본부 441 4.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사례 - 동일본 대지진 사건 442 5. 소결 및 과학수사 관련 시사점 443 제3장 정책적 시사점 445 제1절 주요국가 국가안보 과학수사 법제의 정책적 의미 445 제2절 주요국가 국민안전 과학수사 법제의 정책적 의미 447 제3부 (김기범ㆍ권양섭ㆍ주문호ㆍ신수민)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디지털포렌식의 과제와 발전방안 449 제1장 서 론 452 제2장 해양사고 디지털포렌식 현황 및 개선방안 455 제1절 해양 디지털포렌식의 개념과 필요성 455 1. 해양 디지털포렌식의 개념 455 2. 해양 디지털포렌식의 필요성 456 제2절 해양 선박사고 사례와 사고조사의 한계 456 1. 해양 선박사고 현황 456 2. 해양 선박사고 사례 분석 460 3. 사고조사의 한계 466 제3절 해양 선박사고 디지털포렌식 기술 및 주요쟁점 467 1. 해양 디지털포렌식 선행연구 467 2. 해양 선박사고 디지털포렌식 대상 및 기능 469 3. 해양 선박사고 디지털포렌식 방법 473 4. 해양 선박사고 디지털포렌식 주요쟁점 478 제4절 해양 선박사고 디지털포렌식 개선방안 480 1. 인력 및 장비의 확대와 표준절차 마련 480 2. VDR 의무 장착 선박 확대 및 선박 데이터 관리ㆍ보관 체계 구축 481 3. 선박 악성코드/랜섬웨어 분석기술 개발 481 제3장 자율주행차 사고 디지털포렌식 현황 및 개선방안 482 제1절 자율주행차 디지털포렌식 개념과 필요성 482 1. 자율주행차의 개념과 발전현황 482 2. 자율주행차 사고의 특수성 484 3. 디지털포렌식의 필요성과 도전환경 486 제2절 자율주행차 사고 디지털포렌식 현황 및 방법 488 1. 자율주행차 사고조사 체계 및 법제 488 2. 자율주행차 사고 디지털포렌식 대상 및 정보 489 제3절 자율주행차 디지털포렌식 사례분석 및 쟁점 495 1. 자율주행차 사고사례 495 2. 자율주행차 디지털포렌식 관련 쟁점 508 제4절 자율주행차 사고 디지털포렌식 개선방안 510 1. 기술적 관점 510 2. 법ㆍ제도적 관점 511 제4장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현황 및 개선방안 515 제1절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의 개념과 필요성 515 1. 드론의 개념과 발전과정 515 2.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필요성 517 제2절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대응현황 및 법제 520 1. 드론사고 대응현황 520 2. 드론사고 대응 법제 525 제3절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기술과 절차 534 1. 드론의 유형 및 구성요소 534 2. 디지털포렌식 기술 539 3. 드론 디지털포렌식 기술 546 4.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절차 557 제4절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사례 및 쟁점 565 1.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사례 565 2.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주요쟁점 572 제5절 드론사고 디지털포렌식 개선방안 575 1. 드론 디지털포렌식 인프라 구축 575 2. 드론위협에 대한 전파차단장치 개선과 하드킬 방식의 도입 575 3. 드론 포렌식 플랫폼 구축 576 4. 드론 비행정보 기록 의무화 577 5. 드론포렌식 상시준비(Readiness) 제도 도입 577 제5장 정책적 시사점과 정책과제 580 제1절 논의의 정리 580 제2절 디지털포렌식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583 1. 디지털포렌식 전담조직ㆍ인력 등 인프라 확충 583 2. 사고조사에 필요한 데이터의 보관의무 제도화 583 3. 제조사ㆍ개발사에 디지털포렌식 상시준비 의무 부여 584 4. 전문 연구기관과 전문기업 인증제도 필요 584 5. 대형재난 대응에서 디지털포렌식 기능 포함 585 제4부 (김면기ㆍ박원규ㆍ염윤호)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바이오포렌식 기법평가 및 법적 과제 587 제1장 서 론 590 제2장 국내 생체정보기술 활용 평가 593 제1절 국내 논의 현황 593 제2절 생체정보 인식기술 595 1. 생체정보 인식기술 개요 595 2. 안면인식 기술 598 3. 지능형 CCTV 기술 603 4. 통합관제 기술 608 제3절 국내 기술개발 수준 및 활용 가능성 613 1. 생체정보 인식기술 전반에 관한 국내 기술 동향 613 2. 안면인식과 관련된 국내 기술 동향 615 3. 지능형 CCTV 국내 기술 동향 618 4. 통합관제 관련 국내 기술 동향 620 제3장 미국의 생체정보기술 활용 및 평가 624 제1절 미국의 안면인식 기술 활용 및 논란 624 1. 안면인식 기술 활용의 역사 624 2. 안면인식 기술 활용을 둘러싼 논란 627 제2절 안면인식 기술 활용의 법적 쟁점 및 전망 633 1. 안면인식 기술에 대한 헌법 차원의 통제 633 2. 안면인식 기술에 대한 법률적 차원의 통제 637 제3절 최근의 변화 분위기: 연방의회 난입 사건 수사를 중심으로 639 제4절 앞으로의 전망 644 1. 예상되는 정책 방향 644 2. 연방의회의 입법안 분석 649 제5절 소결론 652 제4장 독일의 생체정보기술 활용 및 평가 653 제1절 독일의 논의 현황 653 제2절 안면인식 기술 사용의 법적 근거 654 1. 위험방지 목적 655 2. 범죄수사 목적 662 3. 참고 : 인공지능 규제를 위한 EU 집행위원회 규칙안 664 제3절 안면인식 기술의 활용 사례 666 1. 2017년 함부르크 G20 정상회담 관련 수사 사례 666 2. 2006년 마인츠 중앙역 실험 사례 676 3. 2017년 베를린 쥐트-크로이츠역 실험 사례 677 4. BKA 경찰정보시스템(INPOL) 기반 안면인식 시스템 운영 678 제4절 향후 전망 및 평가 679 1. 안면인식 시스템 유형에 따른 접근 680 2. 위험의 유형에 따른 접근 682 3. 소결 683 제5장 결 론 685 제1절 논의의 정리 및 정책적 시사점 685 제2절 향후 과제 686 1.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에 관한 쟁점 687 2. 여타의 기본권 침해에 관한 쟁점 688 3. 안면인식 기술 활용을 위한 사회적 합의 689 제5부 (조은경ㆍ최이문ㆍ한유화)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와 법심리학적 과제 691 – 범죄피해평가와 심리부검을 중심으로 제1장 서 론 694 제1절 범죄피해자의 보호와 범죄피해평가 695 제2절 심리부검제도의 현안과 발전과제 697 제2장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한 피해자 진술제도 700 제1절 피해자 진술제도의 유형 700 1. 피해영향진술 701 2. 피해의견진술 702 3. 피해자영향보고 702 4. 범죄피해평가 704 5. 기타 피해자 진술제도 704 제2절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범죄피해평가 제도의 필요성 705 제3절 소결 707 제3장 국가별 피해자 진술제도 710 제1절 미국 710 제2절 호주 715 제3절 캐나다 719 제4절 영국 722 제5절 소결 724 제4장 한국의 피해자 진술제도: 범죄피해평가 726 제1절 한국의 범죄피해평가 제도 726 1. 범죄피해평가 제도의 운영 726 2. 범죄피해평가 전문가의 자격 727 3. 범죄피해평가 절차 727 4. 군사경찰의 범죄피해평가 도입 735 제2절 한국의 범죄피해평가 보고서의 인용 판례 737 1. 2019노2853 738 2. 2020고합73 739 제3절 소결 740 제5장 피해자 진술제도의 연구 동향 742 제1절 피해자 진술제도의 효과 742 1. 피해영향진술 참여율 742 2. 피해영향진술과 법적 판단 743 제2절 범죄피해평가 제도 분석 및 효과 748 제3절 소결 749 제6장 대상에 따른 범죄피해평가 751 제1절 강력(흉악)범죄피해자 751 1. 강력범죄사건 피해자의 심리 752 2.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 754 제2절 지속적/반복적 범죄의 피해자 756 1. 가정폭력 피해자의 심리 756 2. 데이트폭력 피해자의 심리 761 3. 학교폭력 피해자의 심리 764 제3절 사회적 약자 767 1. 장애인 대상 범죄 767 2. 노인 대상 범죄 772 3. 아동 대상 범죄 775 제4절 소결 778 1. 범죄유형에 따른 피해자 특성 778 2. 범죄피해자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779 제7장 심리부검 개관 781 제1절 심리부검의 정의 781 제2절 심리부검의 역사 783 1. 자살연구로서의 심리부검 연구의 역사 783 2. 불분명한 사망사건에서 사망원인 판단을 위한 심리부검 787 제3절 심리부검 주요 사건들 789 1. 마릴린 먼로 사건 789 2. USS 아이오와 호 사건 790 3. 세실 호텔 사건(엘리사 램 익사 사건) 792 제4절 심리부검 절차 794 1. 심리부검 절차 개관 794 2. 심리부검 도구 797 제5절 소결 806 제8장 미국과 한국의 심리부검 관련 법규 807 제1절 미국의 심리부검 관련규정 807 1. 주별 심리부검 규정 사례 807 2. 미군 심리부검 규정 809 제2절 국내 심리부검 관련규정 812 제3절 소결 813 제9장 미국과 한국의 심리부검 판례 815 제1절 심리부검 관련 미국 판례 815 1. 연도별·활용 유형별 계량 분석 815 2. 민형사소송별 판례 817 제2절 심리부검 관련 국내 판례 823 1. 연도별·활용 유형별 계량 분석 823 2. 민형사소송별 판례 823 제3절 소결 828 제10장 심리부검 관련 연구 830 제1절 해외 심리부검 관련 연구 830 1. 심리부검 관련 연구의 계량분석 830 2. 주요 자살학회지 내 심리부검 연구 832 제2절 국내 심리부검 관련 연구 835 1. 심리부검 관련 연구의 계량분석 835 2. 심리부검을 활용한 실증연구 835 제3절 심리부검의 문제점 838 1. 방법론적 문제 838 2. 법적ㆍ윤리적 문제 842 제4절 소결 844 제11장 정책적 제언 846 제1절 공공안전 증진을 위한 범죄 피해평가 제도의 개선방안 제언 846 1. 범죄피해평가 제도 관련 상위 법률 제정 필요 846 2. 범죄피해평가 제도에 대한 학문적/실용적 연구 필요 848 3. 범죄의 특성 및 범죄피해자의 특성을 고려한 범죄피해평가 필요 849 제2절 심리부검 제도의 발전 방향 851 1. 자살에 대한 국가적인 책임 인식 필요 851 2. 자살 연구를 위한 심리부검 예산과 인력의 확충 필요 853 3. 유관기관들간의 협력 구축 필요 854 4. 군 심리부검의 제도화와 투명성 재고 855 제6부 (김한균) 총괄결론 857 – 국가안보 및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와 포렌식 기법 국가정책 발전방안 제1장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정책 및 포렌식 기법 현안과 평가 860 제1절 국가안보ㆍ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 주요 과제와 현안분석 860 1. 국가안보 과학수사 주요법제와 정책 평가 860 2. 국민안전 과학수사 법제와 정책평가 862 제2절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디지털 포렌식 관련 과제 864 1. 국민안전관련 해양 디지털포렌식 평가 864 2. 국민안전관련 자율주행차 디지털포렌식 평가 864 3. 국민안전관련 드론 디지털포렌식 평가 865 제3절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바이오포렌식 기법 평가 및 법적 과제 866 1. 생체정보와 복합인지기술 평가 866 2. 안면인식기술 평가 868 제4절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와 법심리학적 과제 870 1. 범죄피해평가제도 평가 870 2. 심리부검제도 평가 871 제2장 정책권고와 향후 과제 제시 873 제1절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과학수사 정책권고 873 1. 국가안보ㆍ국민안전 과학수사 법제와 정책 기본적 개선 873 2.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디지털포렌식 정책 및 기법 개선 875 3. 국가안보ㆍ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바이오포렌식 정책 및 기법 개선 877 4. 국민안전 증진을 위한 법심리학적 정책 및 기법 개선 878 제2절 향후 연구과제 – 팬데믹 상황과 지속적 형사사법개혁을 위한 과학수사정책의 과제 879 참고문헌 883 Abstract 961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21-CB-01. 21-83-01 첨단 과학수사 정책 및 포렌식 기법 종합발전방안 연구(IV)_내지 최종.pdf (31MB / 다운로드 724회) 다운로드
  • 전체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