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지적장애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한 형사사법절차상 처우에 관한 연구

  • 작성일2023.03.24
  • 조회수974

지적장애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한 형사사법절차상 처우에 관한 연구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김지영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지영 외 1인 외부참여연구자 김강원, 정제형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22년 12월 등록일 2023.03.24
페이지 325 분류기호 22-A-10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0,000원 보고서유형 기본연구보고서
ISBN 979-11-91565-59-1 표준분류 일반공공행정 및 공공안전 > 공공행정 및 공공안전일반
연구유형 정책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국문요약 1


1

김지영

 

 

서론 9

1절 연구의 필요성  11

2절 연구내용 및 연구대상 13

1. 연구내용 13

2. 연구대상 13

3절 연구 방법 14

1. 판결문 기록조사 14

판결문 출처 및 수집 방법 14

판결문 기록조사표 작성 15

조사표 기입 및 전산 코딩 16

2. 심층면접  16

심층면접대상자 16

심층면접질문지  17

 


2

김지영

 

 

이론적 배경 19

1절 지적장애의 개념과 진단  21

2절 지적장애인과 범죄 24

3절 지적장애인 판별 26

4절 지적장애인과 자백 29

 


3

황지태

 

 

지적장애인의 범죄 실태분석 31

1절 지적장애 피고인 사건의 연도별 분포와 사건구분 33

1. 자료의 연도별 분포 33

2. 지적장애 피고인수 기준 사건 구분 34

2절 지적장애인 피고인들의 사회인구학적 분포 35

1. 지적장애인 범죄 사건의 지역적 분포 35

2.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성별과 성인/미성년 추정 39

3절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죄명 분포 40

1. 대표죄명 분류 40

2. 지적장애 피고인의 전체 죄명 중복 분류 42

3. 2020년 발생한 범죄와의 비교 43

4절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변호인 46

1. 변호인 유무와 종류 46

2. 범죄유형에 따른 변호인 유무 47

3. 범죄유형별 무변호인 사례 48

성범죄 무변호인 사례 48

폭력범죄 무변호인 사례 50

절도손괴범죄 무변호인 사례 53

사기경제범죄 무변호인 사례 55

기타 범죄 무변호인 사례 57

5절 지적장애 피고인들에 대한 판결선고 59

1. 1심 판결 선고형 59

2. 범죄유형별 무죄 판결 사례 61

성범죄 무죄 판결 사례 62

성범죄 이외 사건 무죄 판결 사례 67

무죄 판결 사례와 무변호인 사례 비교 71

3. 범죄유형별 선고유예형의 면제 등 판결 72

4.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형량 분석 74

징역형 분석 75

벌금형 분석 82

5.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부가처분 84

6절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범죄경력 등 기타 분석 87

1. 지적장애 피고인들의 범죄경력 87

2. 지적장애 성범죄 피고인들에 대한 특수처분 89

7절 조사결과요약 93

 


4

김지영

 

 

지적장애 피의자에 대한 형사사법절차상의 인권침해실태 97

1절 수사단계에서의 인권침해 99

1. 수사착수 이후의 지적장애 판별 99

신뢰관계인 동석없는 조서작성 99

강제연행과 동의없는 임의동행 101

2. 보호자가 없는 무연고 장애인의 불이익  106

3. 경계선지적장애인에 대한 불이익  108

4. 전담조사관제도의 부실운영 112

현장에서 만날 수 없는 발달장애인 전담조사관 112

전담조사관의 역량부족  116

전담조사관제도의 수사편의적 운영  120

5. 신뢰관계인역할의 제한성  122

6. 보조인제도의 사문화 131

2절 재판단계에서의 인권침해 133

1. 지적장애인에 대한 형식적 변호 133

2. 유죄추정의 검찰수사와 재판 136

3. 송달조차 받지 못하는 피고인  139

3절 교정 및 사회내처우 단계에서의 인권침해 144

1. 지적장애인에 대한 판별의 부재 144

2. 지적장애인에 대한 프로그램의 부재 152

4절 조사결과요약 159

 


5

김강원정제형

 

 

형사사법절차에서 지적장애인 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한
정책제언 163

1절 지적장애인 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한 국제기준 및 해외제도 165

1. 국제인권기준 165

세계인권선언 165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166

정신지체인 권리선언 167

장애인권리선언 167

장애인의 기회균등을 위한 표준규칙 168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169

장애인의 사법적 접근에 관한 국제기준 및 가이드라인 174

2. 해외제도 175

영국 175

1) Appropriate Adult 175

2) Intermediary 178

3) Ground Rules Hearing 180

4) The Advocate’s Gateway 181

5) 구금시설 서비스 지침 (PSI, Prison Service Instructions, 32/2011) 182

미국 185

1) 미국 장애인법 185

2) 장애인권리옹호제도 188

3) The Arc 189

4) 버몬트 주의 의사소통 지원 프로젝트 190

호주 빅토리아 주의 형사사법과 복지 협업 191

일본의 형사사법과 복지 협업 191

2절 지적장애인 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한 국내 기준 및 판례 193

1. 장애인의 사법접근권 관련 국내법규범 193

헌법 193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195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196

형사소송법 및 관련 규칙 198

1) 보조인제도 198

2) 신뢰관계에 있는 사람의 동석 200

3) 진술거부권의 실질적 고지 201

4) 변호인 조력을 받을 권리 202

장애인복지법 장애인 피해자에 대한 진술조력인 203

수사기관 및 사법기관의 규칙 내지 지침 206

2. 국내 판례 207

신뢰관계인 동석 없이 지적(구 정신지체장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을 진행한 사례 207

1) 서울중앙지방법원 2010. 9. 10. 선고 2009가단99509 판결 207

2) 서울고등법원 2017. 4. 21. 선고 20163140, 2016전노210(병합)
판결 208

3) 부산지방법원 2009. 9. 11. 선고 2009고정1903 판결 209

4) 국가인권위원회 2010. 1. 15.자 09진차664 결정 209

5) 국가인권위원회 2012. 10. 22.자 10진정0546300 결정 210

지적장애인에게 진술거부권이나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이 이뤄지지 않은 사례 211

1) 부산지방법원 2009. 9. 11. 선고 2009고정1903판결 211

2) 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11. 18. 선고 2011고합519, 2011감고25
판결 211

그 외 발달장애인의 수사 관련한 사례 212

3절 지적장애인 피의자 인권보호를 위한 정책제언 214

1. 지적장애 피의자 식별 및 초기대응 방식의 개선 214

지적장애인 식별지표 마련 214

장애 여부에 대한 확인 및 고지의무 강화 215

세부 매뉴얼 개발 및 보완 217

신뢰관계인 등 지원인력 동석 보장 217

2. 교육훈련의 강화와 단계별 세부 지침 마련 219

장애인의 법적 권리와 평등에 관한 교육 및 훈련 219

단계별상황별범죄 종류별 세부지침 마련 및 훈련 221

결정 또는 심리전 준비절차 마련 221

3. 인적 지원제도의 개선 223

신뢰관계인 제도 개선 223

진술조력인 확대 및 개선 225

보조인 제도의 활성화 226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의사소통 보조인력’ 역할의 구체화 227

4. 전담조사제 개선 228

5. 형 집행 단계의 개선방안 229

6. 형사사법과 복지 협업 230

4절 형사사법절차에서 지적장애 피의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법개정방안  232

1. 지적장애 피의자 또는 피고인을 대상으로 한 진술조력인 제도의 도입 232

진술조력인 제도 확대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 232

법개정방안 233

1) 1안 형사소송법 개정안 233

2) 2안 발달장애인법 개정안  236

3) 3안 장애인복지법 개정안 237

4) 그 외 하위 법령 개선방안 238

2. 의사소통 보조인력(의사소통조력인제도 개정 방안 239

3. 보조인 제도 개정 방안 242

4. 신뢰관계 있는 사람의 동석 제도 개정방안 244

5. 고지의무 명시 관련 개정방안 247

6. 지적장애 피고인에 대한 송달 관련 개정안 249

7. 기타 개정 제안 249

5절 소결 252

 


6

김지영황지태김강원정제형

 

 

결론 255

1절 지적장애인 범죄의 특성 257

2절 형사사법절차의 문제점 259

3절 정책제언 261

 

참고문헌 264

Abstract 273

부록 277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22-A-10 지적장애피고인의 형사사법절차상 처우에 관한 연구_내지 최종.pdf (12.17MB / 다운로드 431회) 다운로드
  • 전체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