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부패의 사회문화와 개선방안 모색
1.서 론
이 연구는 부정부패의 개념을 어떠한 차원으로 정의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부정부패의 실태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부정부패의 원인에 대해 이론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이 분야의 연구들은 대부분 공무원의 부패문제에 한정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연구는 부정부패의 개념을 확장하여 부정부패가 여러 다양한 직업들에 걸쳐 편재한다는 가정 하에 접근하고자 하며, 또한 부정부패라는 개념 자체가 시대적, 문화적 특수성에 맞춰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에서 부정부패가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합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부정부패의 실태와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2. 표집 및 변인측정
일반적으로 부정부패의 기회는 모든 연령대에서 가질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30세 이상의 성인들이 훨씬 많은 부정부패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정의 부정부패는 어느 정도의 연령이 되어야 참여가 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부정부패가 30세 이상의 성인들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모집단은 1998년 10월 현재 요 약한국에 살고 있는 30세 이상의 성인남녀들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1998년 10월..11월 현재 전국 9개 도시(인천, 대전, 서울, 울산, 청주, 마산, 천안, 익산, 속초)에 거주하고 있는 1,354명의 성인 남녀들을 성별, 연령별로 고르게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가장 큰 목적은 부정부패의 원인을 밝히려는데 있으므로, 표본설계도 여기에 부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즉 이 연구의 큰 관심사의 하나인 발전단계별, 발전속도별 지역별 차이를 검증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기준, 즉 도시규모와 발전속도라는 기준을 각각 대, 중, 소 그리고
빠름, 중간, 느림의 3개의 차원을 교차시켜 9개의 도시를 선정하였다. 도시규모는 1996년 현재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100만 이상, 100만 미만 40만 이상, 그리고 40만 미만을 기준으로 대, 중, 소로 나누었고, 발전속도는 인구증가율을 기준으로 하여 1977년 대비 증가율을 기준으로 하여 빠름(170 이상), 중간(100 이상 170 미만), 느림(100 미만)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다음의 X표 1〉은 이러한 기준에 의한 도시별 분류와 이 도시들의 공식통계를 제시한 것이다.도시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각 도시별로 어느 정도의 사례수가 요구되었으므로, 각각의 도시에 150사례씩을 할당하는 비확률표집이 이용되었다. 이 150사례에서 다시 각 도시별로 성별, 연령별로 사례수가 할당되었다. 다음의 X표 2〉는 이렇게 할당된 부수와 실제 조사된 부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할당된 지역별 150사례는 다시 구 또는 동별로 나누어 조사가 진행되었다. 이렇게 할당된 사례수에 따라, 설문지는 각 지역(도시)별로 각각 6명씩, 총 54명의 사전교육된 조사원에 의해 1998년 10월 22일부터 11월 말까지 조사가 진행되었다.
- 등록일1998.12.01
- 출판일1998.12.01
- 저자
- 페이지수0
- 조회수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