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범죄의 실태 및 동향 자료 구축(Ⅰ): 성폭력범죄
제1장 연구개요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최근 정책개발에 있어 증거기반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범죄 특성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데이터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특히 국민의 삶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범죄의 경우, 주기적인 실증적 조사연구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여 향후 형사사법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살인, 강절도, 성폭력, 사기, 횡령ㆍ배임, 일반폭력(폭행, 상해, 폭처법)의 각 주요 범죄별로 6년을 주기로 범죄 실태 및 발생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DB화하여, ‘범죄와 형사사법 통계정보(CCJS)’ 시스템을 통해 학계 및 일반과 공유하고자 기획됨 □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사업 첫 해인 2021년에는 성폭력범죄를 대상으로, 첫째, 최근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및 주요 쟁점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둘째, 기록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범죄 특성 및 범죄자 특성 등을 분석함. 셋째, 최근 정책현안이고 되고 있는 ‘아동ㆍ청소년 성폭력범죄’와 ‘디지털성범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정책적 함의점을 제시함 -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공식통계분석, 메타분석, 판결문조사, 설문조사, 교육 및 상담자료 분석의 여섯 가지로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연구방법 분석/조사 대상 분석내용 문헌연구 ㆍ국내ㆍ외 선행연구 ㆍ성폭력범죄에 관한 국내ㆍ외 연구 동향 ㆍ성폭력범죄 및 가해자 특성 변인분석 공식통계 분석 ㆍ대검찰청 『범죄분석』 ㆍ성폭력범죄 발생 및 처분현황 ㆍ성폭력범죄의 특성 메타분석 ㆍ선행연구 57건 ㆍ강간통념 수용도, 양가적 성차별 의식(적대적, 온정적 성차별의식) 등 성폭력범죄 주요 쟁점에 대한 메타 분석 판결문조사 ㆍ최근 6년간(2014-2019년) 확정된 1심 판결문 1,026건 ㆍ성폭력범죄의 일반적 특성 ㆍ성폭력범죄 유형별 특성 설문조사 ㆍ교정시설 수형자 약 700명 ㆍ보호관찰대상자 약 700명 ㆍ성폭력범죄자의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및 성장환경 ㆍ성폭력범죄자의 심리특성 상담 및 교육 자료 분석 탁틴내일에서 상담/교육을 받은 ㆍ성폭력 피해 아동ㆍ청소년 ㆍ수강명령 대상 아동ㆍ청소년 ㆍ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자의 특성과 추이 ㆍ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의 특성과 추이 ㆍ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와 디지털성범죄 관련 정책 현안 제2장 성폭력범죄 관련 동향과 메타분석 □ 성폭력범죄 발생 동향 - 최근 6년 동안 전체범죄는 약간의 등락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나, 성폭력범죄의 경우 발생건수가 29,863건에서 32,029건으로 7.3% 증가하였고, 발생비도 인구 10만 명당 58.2건에서 6.18건으로 6.2% 증가함 -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성폭력범죄 유형은 ‘강제추행’, ‘카메라등이용촬영’, ‘공중밀집장소추행’과 ‘통신매체이용음란’ 등의 순으로, 디지털성범죄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임 - 최근 6년간 성폭력범죄자 대한 기소율이 감소하는 가운데, 기소 건수 중 구속 구공판 건수가 감소한 반면, 구약식 건수가 크게 증가함. 또한 유기
- 등록일2022.01.28
- 출판일2021년 12월
- 저자강은영
- 페이지수619
- 조회수4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