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주의 형사제재의 실효성 평가연구(Ⅰ) :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실효성 평가연구
1. 연구목적 및 내용과 연구방법가. 연구목적 및 내용1) 연구목적⚪200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형사제재의 특성은 ‘중형주의’ 혹은 ‘엄벌주의’라고 할 수 있으며, 이의 핵심은 주로 성폭력범죄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보안처분의 도입 및 강화라고 할 수 있다.⚪신설된 보안처분에 관해서는 법치주의 및 책임주의 원칙에 따라 정당성과 타당성을 평가하는 비판적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그 실효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신설된 보안처분은 대상자의 재범위험성을 판단하여, 재범 위험성이 높은 범죄자로부터의 공공안전을 최우선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그 실효성을 판단해보고,전반적인 형사제재라는 큰 틀 하에서 향후 개혁 방향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있다.⚪본 연구는 성폭력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 보안처분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하는목적으로 3년간의 중장기 과제로 기획되었으며, 각 년도 별로 신상정보등록 및공개제도, 전자감독제도, 성충동약물치료제도 및 취업제한제도와 같은 4가지보안처분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2020년은 1차 연도 연구로서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실효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년에 본 연구원에서 이에 관한 평가연구가 한 번진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2012년 이후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변화에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해 실증자료를 수집하여, ‘신상정보등록및 공개제도’의 실행과정과 성과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 연구내용⚪현재 우리나라의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제도시행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기된 법적 쟁점을 검토하였다.⚪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를 간단히 소개한 후 1)인터넷 사용 관련 정보등록, 2) 등록 의무등록 의무위반에 대한 처벌, 3) 청소년성범죄자에 대한 특별규정, 4) 공개되는 등록정보, 5) 등록면제제도에 초점을맞추어 비교법적으로 검토한 후 우리나라 제도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미국, 캐나다, 호주의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실행과정과 효과성에 대한실증적인 연구결과를 1)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에 대한 관련자 및 이해집단의 인식과 태도, 2)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운영과정(위험분류 및 등급체계,등록정보의 정확성, 등록 의무위반자의 특성, 등록 의무위반자에 대한 처리 실태, 등록 의무위반과 재범과의 관계 등), 3)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효과(일반예방효과, 특별예방효과, 지역주민의 안전감과 예방 및 보호 행동의 변화에미치는 효과), 4) 등록 및 공개가 대상자와 가족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으로구분하여 정리하고, 본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제도의 실행과정을 1)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 현황 과 대상범죄 및 대상자 특성, 2) 신상정보등록 및 공개업무 관리체계 및 인력 현황,3) 신상정보의 등록 및 관리, 4) 공개 및 고지대상자의 선정과 공개과정으로구분한 후 분야별 운영 실태와 운영과정에서 제기되
- 등록일2021.02.01
- 출판일2020년 12월
- 저자김지선
- 페이지수0
- 조회수3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