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연구(V) - 도서산간 및 농어촌지역 안전실태와 개선방안
1. 조사결과요약공식통계상에 나타난 범죄발생률을 보면 강도, 절도, 폭력, 성폭력, 사기는 도시지역에서의 발생률이 농어촌지역보다 높았으나 예외적으로 살인범죄의 발생률은 농어촌이 더 높았다. 또한 검거율을 보면 살인, 강도, 절도, 폭력, 사기는 농어촌 지역의검거율이 높았으나 성범죄만 도시에 비해 농어촌지역의 검거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유형별로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농어촌 및 도서산간지역의 살인범죄와 사기범죄는 인구이동률이 적은사회적 유대가 강한 지역일수록 발생확률이 높았다. 살인의 경우 농어촌에 사체를유기한 때문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해자-피해자 관계의 약 70%가 친족, 이웃,지인 등 아는 사람(강은영・박형민, 2008)이라고 할 때, 인구이동률이 적을수록 살인범죄 발생률이 높다는 결과가 가능하다. 그러나 사기의 경우도 인구이동률이 적은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게 나타난 것은 의외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도시지역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사기범죄와 인구이동률이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농어촌지역과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농어촌 및 도서산간에서 발생하는 사기범죄는 도시와 다른 특성을 가질 것으로 짐작된다. 둘째, 선행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농어촌 및 도서산간지역에서도 폭력범죄는 이주민의 유입이 많은 상업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사회환경적 변인과 농어촌범죄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농어촌 및도서산간지역 안에서도 범죄유형과 지역에 따라, 발생실태와 발생원인에 편차가 뚜렷하므로 치안정책이 보다 세분화되고 다층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농어촌주민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치안적 측면의 고려뿐만이 아니라 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고주민사이의 갈등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앞서 범죄발생률과 사회환경적 요인 분석은 시, 군, 구를 분석단위로 하였으나 범죄피해율은 읍, 면, 동을 분석단위로 하였다. 전체범죄피해율을 보면 읍단위 지역의 범죄피해율이 도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범죄피해율이 높은 순서대로 보면 읍지역이가장 높고, 다음으로 도시에 속하는 동지역이 높았으며 면지역의 범죄발생률이 가장낮았다. 여기에 일반 농어촌지역과 도서지역, 산간지역을 각각 나누어 비교해 보면산간지역의 읍단위와 일반 읍단위지역의 범죄발생률이 가장 높고, 두 번째가 도시지역, 다음으로 일반 면단위지역, 산간 면단위지역, 마지막으로 도서지역 순으로 결과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인구밀도가 낮은 면단위의 농어촌 및 도서지역은예상대로 범죄피해율이 매우 낮지만, 읍지역과 같은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고 상가가 밀집한 농어촌은 오히려 도시보다 범죄피해율이 높은 것이다. 도서지역과 산간지역의 범죄피해율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서산간지역을 합한 범죄피해율은 2.81%이나, 도서지역의 범죄피해율은 1.72%, 산간지역 피해율은 3.89%로 산간지역의 피해율이 도서지역보다 월등히 높았다. 산간지역의 읍을 포함한 전체 읍지역에서 총범죄피해율이 높게 나타나게 된 것은 이
- 등록일2021.02.01
- 출판일2020년 12월
- 저자김지영
- 페이지수0
- 조회수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