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강력범죄에 대한 외국의 대응동향 및 정책 시사점 연구
최근 인천초등생 살인사건과 부산여중생 폭행사건 등을 비롯하여 소년강력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대한민국 사회는 청소년범죄에 대한 불안과 공포에 휩싸여 있다. 소년강력범죄자에 대한 관대한 처우가 되고 있다는 국민적 인식에 따라 소년법 폐지 청원까지 이루어지고, 40만 명에 달하는 국민이 소년법 폐지 청원을 하였다. 이에 정부는 청원 답변 1호 사례로 소년법 폐지 청원에 직접 답변을 하였고, 후속조치로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학교 안팎 청소년대책 수립을 위한 TF’를 가동하여 소년강력범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국회에서는 형사처벌 강화 및 형사책임 연령 인하 등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소년법 폐지논의를 비롯하여 소년법 적용연령 인하, 소년강력범에 대한 강력처벌을 위한 입법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박하게 대책을 마련하기보다는 현행 소년강력범죄에 대한 현행 대응실태를 면밀하게 점검하고 대응의 한계점을 개선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소년인구의 감소와 함께 소년범죄 인구도 감소하고 있지만, 소년강력범죄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소년범죄자의 재범률이 40%를 웃돌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부산여중생 사건에서 알게 되듯이, 이미 폭력범죄로 소년사법 단계에 있는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재비행이 발생될 때까지 사법당국이 정보공유 부족 등을 이유로 관리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하나의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입법 논의가 활발한 현 시점에서 소년강력범죄 관련 대책을 진단하고, 소년강력범죄에 대하여 외국에서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평가해 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경험사례를 갖고 있는 일본을 비롯하여 미국, 영국, 독일, 노르웨이의 소년사법체계와 소년강력범죄에 대한 대응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국가들로부터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각국의 대응현황과 형사책임연령 인하 등에 대한 논의과정을 점검함으로서, 우리나라에 보다 현실적으로 구체화된 대응정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등록일2018.02.22
- 출판일2017년 12월
- 저자이승현
- 페이지수0
- 조회수3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