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사법에서 정신감정의 신뢰성 제고 및 효과적 활용방안 연구
정신장애인의 범죄율은 일반 인구에 비해 높지 않지만 절대적 수치는 2004년 9,001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연간 5,000건에서 7,000건 사이로 상당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성폭력 범죄, 존속 살인, 불특정인을 상대로 한 묻지마 범죄 등 정신질환자에 의한 범죄는 종종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범죄를 행한 정신장애인에 대한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통한 범죄예방 및 감소에 대한 정책적 대안은 상대적으로 미비하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다른 한편에서는 범죄를 저지른 책임무능력자와 한정책임능력자를 전문치료기관에 수용·치료함으로써 정신질환의 증상을 완화하고 재범을 방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치료감호제도가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 미비 등의 문제점을 노출해 왔으며, 그 결과 치료감호소의 과밀수용 및 장기수용과 의료인력 부족으로 인한 열악한 환경 및 치료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성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정신의학적·형사법적 관점에서 본 정신장애의 개념과 분류를 논의하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책임능력판단과 정신감정의 형사법적 기준 및 절차를 검토한 이후, 일본, 독일, 미국을 중심으로 관련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어서 수사재판기록조사와 전문가 심층면담을 통하여 형사사건 관련 정신감정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한 이후, 앞의 모든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결론으로서 주요한 형사 입법적·정책적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 등록일2018.02.09
- 출판일2017년 12월
- 저자최민영
- 페이지수0
- 조회수1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