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형 범죄에 대한 새로운 정책대안으로서의 가상현실치료(VRT)에 관한 연구 (3)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소년을 위한 분노조절 가상현실 인지행동치료(VR-CBT)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가상현실치료(VRT)의 장점들로는 몰입형 VR(ImmersiveVR,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데스크탑 VR(Desk-TopVR), 홀로그래픽 VR(Holographic VR) 등을 활용한 가상환경에서 가상현실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때문에 정서적·정신적·신체적인 재활에 있어서, 주어진 가상현실이나 가상환경에 외에는 주변을 의식할 필요가 없기에 내담자만의 독립적인 가상공간이제공되어 더 높은 주의력, 몰입과 더불어 자기노출(self-disclosure)과 뇌가소성(neural plasticity)의 효과를 초래한다. 최근 가상현실 인지행동치료(VR-CBT)는 코카인(cocaine), 알코올(alcohol), 흡연(smoking), 도박(gambling),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autism), 공포증(대인, 고소, 특정, 비행), 편집증(paranoid),우울증(depression), 강박증(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화상소독(burn dressing),비만(obesity),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고소공포증(acrophobia), 비행공포증(flight phobia), 거미공포증(arachnophobia),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사회기술훈련(social skills training), 스트레스의 자기조절(self-regulation), 정서조절(emotionalregulation), 고통조절(pain management), 치과수술(dental surgery), 종양입원환자(oncology impatient) 등과 관련한 다양한 독립적 연구와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반면에, 국내외 분노조절의 임상적인 가상현실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실태이다. 따라서 본 임상적 가상현실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분노조절 가상현실 인지행동치료(VR-CBT) 프로그램으로, 1) 부모와 청소년 자녀들 간, 친구와 동료 간의3회 분노유발상황 비디오 시나리오, 2) 합리정서행동치료(REBT)와 인지행동치료(CBT)에 기초한 합리적·건설적·창의적·중립적 사고(인지재구조화), 문제해결, 대처능력, 사회대인관계기술 비디오 시나리오, 3) 분노조절을 위한 근육이완, 복식호흡 웃음치료, 마음챙김명상(MBSR), 자연치유영상과 향기치료 (유자향))과 한국형 상태-특성 분노표출척도 2(K-STAXI 2) 등의 개발과 타당도 검사에 초점을 두었다.게다가 가상현실치료(VRT)는 정신건상치료, 운동기술재활, 인지평가, 임상기술훈련 등과 같은 기존의 평가와 방법에 가치를 더할 수 있다. Albert Skip Rizzo에 따르면,가상현실을 사용한 임상연구들은 입원환자, 외래환자, 가정기반의료재활(home-basedmedical rehabilitation)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결과들을 산출할 것이다“라고 제언했다. 향후 분노조절 가상현실
- 등록일2016.01.19
- 출판일2015년 12월
- 저자연성진
- 페이지수0
- 조회수1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