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신매매 방지 및 인신매매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제화 연구
제1절 연구의 목적
전 세계의 인신매매 피해자는 250만명으로 추산된다. ‘인신매매, 특히 여성과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인신매매의 방지, 퇴치, 처벌에 관한 의정서(이하, 인신매매 의정서, Palermo Protocol to Prevent, Suppress and Punish Trafficking in Persons, especially Women and Children)’에 한국은 2001년 서명을 하였으나 이행입법 미비로 아직 비준을 못한 상태에 있다. 동 의정서 비준을 위해 2011년 7월에 법무부의 형법 개정안이 나왔으나 18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하였고, 법무부는 동일한 내용으로 2012년 8월 13일 19대 국회에 개정안을 제출하였다. 형법 개정안은 기존의 약취, 유인죄를 보완하고 인신매매 규정을 신설하였지만, 위 의정서의 이행입법으로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행입법이 되려면 단순히 인신매매 범죄자 처벌을 위한 규정만 신설되어서는 안 되고, 더 포괄적인 인신매매 정의 규정과 함께 인신매매 피해자에 대한 보호와 지원에 중점을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가 되고 있는 인신매매 유형들 모두 담아내고 인신매매 피해자의 인권보호에 중점을 두는 포괄적인 법제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인신매매 의정서의 인신매매 개념을 중심으로 인신매매의 개념을 정의하고, 한국에서 일어나는 인신매매의 유형을 간략하게 정리한다. 둘째, 인신매매 처벌과 예방, 피해자 보호의 측면에서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는 필리핀, 미국, 호주의 인신매매 관련 법제를 고찰함으로서 우리의 법제화에 필요한 시사점들을 논의한다. 셋째, 인신매매 처벌과 인신매매피해자 보호를 위한 현행법, 형법개정안, 특별 법안들을 차례로 검토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한다. 넷째, 앞의 연구들을 기초로 인신매매 처벌과 예방, 피해자보호, 국제협력의 측면에서 인신매매 방지 및 인신매매피해자 보호 법제를 위한 기초적인 제안을 한다.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우선, 인신매매 개념은 인신매매 의정서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여러 시민단체들의 자료와 방문면담 결과를 기초로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신매매의 유형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다음으로, 필리핀, 미국, 호주의 인신매매 관련법을 인신매매 개념정의, 처벌, 예방과 인신매매 피해자 보호 등의 측면에서 정리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내린다. 다음으로, 한국의 인신매매 관련 처벌규정과 인신매매피해자 보호규정들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논의한다. 이어서, 인신매매 처벌을 위한 형법개정안과 인신매매 처벌과 인신매매피해자 보호를 위한 특별법안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이후, 앞의 인신매매 의정서와 비교하여 각각의 문제점들을 짚어본다. 마지막으로, 앞의 연구들을 기초로 인신매매 개념과 처벌, 인신매매 피해자의 보호, 인신매매 예방과 국제협력의 측면에서 인신매매방지 및 인신매매피해자 보호 법제를 위한 기초적인 제안을 한다.
위의 연구들은 대
- 등록일2013.01.29
- 출판일2012-12
- 저자최민영
- 페이지수0
- 조회수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