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내 폭력의 현황과 대책- 교사의 폭력피해를 중심으로 -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지속되어 오고 있는 학교폭력은 그 정도가 심화되어 학생이나 학부모에 의한 교사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미 학교 내에서의 학생 및 학부모에 의한 교사의 폭력피해는 심각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문제로 공론화되어 함께 논의하기 보다는 개인적인 문제로 처리되어왔다. 또한 인터넷과 뉴스를 통하여, 교실 내에서 남자고등학생이 젊은 여교사를 성희롱하는 사건 등이 보도되며 심각한 사회문제로써 공론화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태조사 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사의 폭력피해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학생 및 학부모에 의한 교사의 폭력피해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세워 학생 및 학부모에 의한 교사의 폭력피해를 근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 연구가 갖는 의의는 첫째, 한국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교실 내 폭력 중 교사의 폭력피해에 관한 연구로써, 전국적인 실태 조사를 통하여 교사의 폭력피해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범죄사회학적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교사의 폭력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는 사회통제이론, 사회해체이론과 억제이론이 설명하는 주요 요인들이 교사의 폭력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권확립을 위한 정책적 제안과 더불어 교사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나. 연구 내용
첫째, 학교 수준에서는 공립인지 사립인지의 여부, 학교 규모, 학교가 위치한 지역 환경을 조사내용에 포함하였다. 학교 규모는 전교생을 기준으로 300명 미만, 300명 이상~1,000명 미만, 1,000명 이상의 세 범주로 측정하여 각각 소규모, 중규모, 대규모 학교로 구분하였다. 학교가 위치한 지역 환경은 아파트 밀집지역, 단독주택 밀집지역, 혼합지역, 상업지역, 농촌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둘째, 교사 개인 수준에서는 일반적 배경변인으로 성별, 연령, 총 근속연수, 현재 학교에서의 근무연수, 담임여부, 직위를 측정하였다. 교사의 학생지도 및 학생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훈육방법, 생활지도 유형, 학생과의 관계를 척도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는 의사소통 정도, 의사소통 내용과 방식, 의사소통이 활발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원인 등을 측정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당하는 폭력피해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각한 폭력피해의 유형, 교사에 대한 폭력의 수준에 대한 인식, 과거와의 비교,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현재 근무학교에서의 피해 처리 방식과 방침 등을 조사하였다. 학생인권조례가 미치는 영향을 물어보았고, 교권보호조례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넷째,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연구내용은 교사들이 어느 정도로 폭력적 피해를 당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폭력피해 유형을 ① 욕설
- 등록일2013.01.29
- 출판일2012-12
- 저자장준오
- 페이지수0
- 조회수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