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 방안(Ⅲ) : 학교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방안
제1장 연구 개요
□ 지난 10년간 학교범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검찰청 통계에 따르면 2009년도에 학교 내에서 발생한 범죄는 총 6,939건으로 전체 범죄 중에서 0.78%를 차지하고 있다. 10년 전과 비교할 때 발생건수 면에서는 2.14배, 비율 면에서는 2.78배나 증가한 셈이다. 더구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초등학교 내에서 아동성폭력사건이 발생하면서 이제 학교는 더 이상 신성하고 안전한 공간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아동과 청소년에게 안전한 학교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국가가 가장 최우선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정책과제이다. 학교안전의 주된 책임은 교사와 학교관리자에게 있으나, 학교가 위치한 지역사회, 나아가 전체 사회가 책임을 나누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학교 안전은 학교만의 변화로 확보될 수 없으며, 학교를 둘러싼 지역사회 역시 함께 변화되어야 한다. 학교 범죄예방을 위한 노력은 지역사회, 나아가 전체 사회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발판이 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학교와 학교주변을 대상으로 제1세대 및 제2세대 CPTED 전략을 적용하여 물리적 환경의 변화, 즉 도시 및 건축물의 설계를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전략과 함께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경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범죄예방전략을 도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를 위하여 범죄학, 건축학, 경찰행정학, 교육학 등 다양한 연구자들의 협동작업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4개의 세부과제와 이를 총괄하는 1개의 보고서, 총 5권의 보고서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 [세부과제 1]은 총괄보고서로 연구목적과 이론적 배경, 그리고 세부과제 2-5까지의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세부과제 2]는 학교와 학교주변의 사회적 무질서, 집합효율성, 비공식적 사회통제 등에 대한 사회문화적 범죄예방 전략을 논의하였고, [세부과제 3]은 학교 설계 및 관리에 관한 CPTED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세부과제 4]에서는 국외 전문가를 초청하여 학교안전 컨썰팅을 실시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부과제 5]는 이미 CPTED 전략을 도입하고 있는 학교와 학교주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제한적이나마 학교 CPTED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 연구방법
- [세부과제 2]는 서울ㆍ경기지역 소재 27개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표본수는 학생 1763명, 지역주민 1620명이다.
- [세부과제 3]은 학교시설물 및 관리 실태 조사로 서울ㆍ경기지역 소재 30개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현장방문 관찰조사와 학생, 교사, 관리자 대상 면접조사가 병행되었다.
- [세부과제 4]는 전문가 학교안전진단 조사이다. 조사 대상은 세부과제 3의 30개 초등, 중등 고등 각 3개 학교, 총 9개 학교이다.
- [세부과제 5]는 두 가지 유형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학생ㆍ교사ㆍ교장 2150명을 대상으로 학교 CPTED 효과성 인식에 대한 설문
- 등록일2011.02.14
- 출판일2010-12
- 저자
- 페이지수0
- 조회수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