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수사력 향상방안
【제1부 연구의 기초】
○ 수사(Investigation, Ermittlung) 및 수사력의 정의
- 수사란 ‘범죄혐의의 유무를 명백히 하여 공소를 제기·유지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범인을 발견·확보하고 증거를 수집·보전하는 수사기관의 활동’임
- 수사력이란 ‘수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범죄를 인식하고 범인을 확보하며 증거를 수집하는 수사기관의 능력 내지 역량’
○ 연구의 의의
- 비록 우리나라 총범죄해결율이 선진외국과 비교하여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수사환경의 변화로 인해 수사력 약화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 예로 범죄의 성격변화, 인권보장강화, 짜내기식 수사의 곤란성, 소송환경의 변화, 남고소의 문제 등은 수사력 약화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 연구의 범위
- 수사력에 영향을 미치는 분야로 수사행정, 수사절차 및 체제, 수사교육, 과학수사라는 4가지 분야를 선별하여 각 분야별 실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정책대안을 모색
- 미제사건에 대한 설문분석과 함께 실제 수사사례를 중심으로 수사성공 내지 실패 요인이 무엇인지를 사건구조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
○ 선행연구검토
- 우리나라 수사관련 선행연구 제시 및 내용검토결과 실증적 연구 미비 결론
- 영국, 미국, 독일, 일본 등을 중심으로 외국의 수사제도를 수사행정, 수사절차 및 체제, 수사교육, 과학수사 분야로 나누어 실태 요약제시
- 우리나라 범죄수사관련 공식통계자료 분석․제시
【제2부 범죄수사실태 조사연구】
1. 조사의 의의
○ 조사설계 및 조사과정
- 설문조사모집단은 235개 경찰서 내 수사경과를 부여 받고 있는 경찰관 중, 경감이하의 계급을 갖고 강력팀, 폭력팀, 지능팀(사이버수사팀 포함), 경제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사관으로 2007년 10월 말 현재 총 13,000여명
- 설문조사표본은 2007년 상반기 및 중반기 경찰수사연수원 수사지휘과정(80명), 금융경제범죄수사과정(100명), 공공지능범죄수사과정(150명), 강력범죄수사과정(270명)을 이수한 피교육생 600명
- 심층면접조사표본은 첫째, 연구진이 위의 공공지능범죄수사과정 및 강력범죄수사과정 강사로 출강하여 수사사례발표 청취 후 면접 대상자를 직접 선택. 둘째, 서울청 2개 경찰서, 부산청, 인천청, 광주청 각1개 경찰서, 경기청 및 전북청 각1개 경찰서를 직접 방문하여 각 부서별 면접자 표출. 셋째, 설문회수 후 면접을 원하는 수사관에 대해 이메일 혹은 전화 통한 면접자 표출
- 설문조사는 설문항목에 대한 예비조사 후 2007년 9월 19일 600부의 설문이 배포되어, 10월 26일까지 도착한 384부(회신율 64%) 중 14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분석
○ 설문문항의 구성
- 수사행정: 근무시간 및 업무량, 급여 및 수사비 실태, 수사전문성, 조직몰입도, 직무만족도, 직속상관의 리더십, 조직문화 등 조사
- 수사절차 및 수사체제: 수사과정상의
- 등록일2007.12.14
- 출판일2007-12
- 저자신의기
- 페이지수0
- 조회수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