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조직의 하위문화 연구
1.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폭력조직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일반론적인 개념정의나 유형분류 등 규범적 성격을 규명하거나 혹은 단순히 외국의 조직범죄가 가지는 외형적 특징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수준에 머무른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피상적인 연구만으로 폭력조직의 사회적 해악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은 물론 그 대책수립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는 하위문화 이론적 관점에서 폭력조직을 고찰함으로써 폭력조직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과 함께 효율적인 대책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폭력조직의 하위문화를 파악함으로써 폭력조직의 다양한 실태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를 바탕으로 폭력조직의 확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 이 연구는 첫째, 폭력조직의 하위문화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도하였다. 둘째, 폭력조직 규율체계 및 조직관리 방식을 파악하였다. 셋째, 조직폭력배의 소비행태, 재산상태 등을 파악하였다. 넷째, 조직폭력배의 수급체계상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다섯째, 이러한 특성을 갖는 폭력조직에 대해 하위문화론적 관점에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2. 이 연구를 위하여 이미 1차 조사된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수탁과제 및 내부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실시한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2차 분석한 결과를 통해 폭력조직의 하위문화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1차 조사자료에서 분석할 수 없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경찰서와 청송교도소로부터 각각 5명의 관련자를 소개받고 당사자를 직접 면접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외 문헌연구, 법원, 검찰청, 경찰청, 교정국의 공식적 자료, 국회 제출자료는 물론 각종 내부자료 등을 중심으로 폭력조직의 개념정의, 특성, 성장과정, 조직구조 등 관련 이론적 논의 등을 하였다.
2. 폭력조직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폭력조직 하위문화의 개념과 특징
1. 폭력조직이란 폭력을 수단으로 범죄를 범할 목적으로 구성된 다수인의 통솔체계를 갖춘 조직으로 정의할 수 있고, 폭력조직의 하위문화란 이러한 폭력조직이 갖는 문화적 특성을 의미한다.
2. 폭력조직의 하위문화적 특성은 크게 활동상 특징과 조직상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활동상의 특징은 잔혹성, 치밀함, 비호세력의 활용, 타 조직과의 연계 등이 있고, 조직상의 특징으로는 계급기반 지휘체계 확립, 조직의 상층부와 하층부의 단절, 엄격한 내부규율 등을 들 수 있다.
2) 폭력조직 하위문화의 구성요소
1. 폭력조직의 조직구조는 다양한 연구에서 제시되었는데 이에 따라 폭력조직을 이해하는 관점도 다양해졌다. 폭력조직의 조직구조에는 대통령위원회구조, 크래시(Donald R. Cressey)의 코자 노스트라(Cosa Nostra)구조, 알비니의 보호자-고객구조(Albini’ Patron-Client Model), 기업부조와 범죄네트워크구조, 가족구조와 동업자구조, 신디케이트구조 등이 있다.
2. 폭력조직은 엄격한 내부규율이 존재하여
- 등록일2007.01.24
- 출판일2006-12
- 저자최응렬
- 페이지수0
- 조회수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