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별 약물남용 실태와 수요감소전략
보다 효과적인 약물남용 수요감소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체 국민들의 약물남용 실태를 파악하여야 하며, 이 자료를 토대로 약물남용 위험수준에 따라 차별적인 예방 및 치료전략을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 포괄적인 약물남용실태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위험수준 집단에 대한 예방 및 치료재활 전략도 효과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약물남용 수요감소정책의 주요 대상집단이라 할 수 있는 일반 시민, 일반사범(보호관찰, 교도소 수형자), 약물사범(치료보호, 보호관찰, 치료감호, 교도소 수형자) 집단을 대상으로 1) 각 집단별 약물사용실태와 특성들을 분석하고, 2) 각 집단별로 약물남용자 처우 및 약물관련정책에 대해 갖는 의식, 그리고 약물사범에 대한 처우실태를 살펴보았으며 3) 약물남용 설명요인과 단약 가능성 인지의 설명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일반인 2,500명, 약물사범은 조건부 치료보호와 보호관찰을 받은 사회내 처우 약물사범 326명, 교도소 혹은 치료감호 중인 시설내 처우 약물사범 346명, 그리고 약물사범과 비교하기 위한 일반범죄 대상자로서 보호관찰 등 사회내 처우 일반사범 378명, 그리고 교도소에 수감중인 시설내 처우 일반사범 429명이다.
집단별 특성
첫째, 약물사범 특히 시설내처우자들은 부모의 애정부족, 학교생활 부적응, 학교성적문제, 비행친구, 음주․흡연 등 아동․청소년기에 가정, 학교생활, 친구관계의 면에서 일반인이나 일반사범에 비해 문제성향이 많았다. 둘째, 약물사범들은 주변에 약물을 하는 친구나 가족, 애인이 많고, 이들로부터 약물을 권유받는 비율도 높아 다른 집단에 비해 약물친화적인 환경 속에서 생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그 어느 범죄자 집단보다 일상긴장과 우울증을 많이 느끼고 자기통제력이 낮다. 셋째, 약물사범, 특히 시설내처우 약물사범들이 가장 약물친화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약물남용행위, 남용자, 판매자에 대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약물남용이 주는 이득을 가장 많이 인지하는 반면 약물남용이 초래하는 개인적․사회적 악영향에 대한 문제의식은 가장 약하다. 넷째, 약물사범이 일반사범으로 발전하기보다는 일반사범이 약물사범으로 발전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약물남용과 다른 범죄와의 연관성은 약하나, 약물사범 시설내처우자들의 경우 약 10%가 약물 때문에 다른 범죄를 저질렀고, 5.8%는 환각상태에서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남용실태
․첫째, 약물 사용 경험자의 비율은 약물사범, 일반사범, 일반인의 순서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각 집단이 약물남용 위험수준에서 차이가 보인다. 일반인은 4.6%, 사회내처우 일반사범은 3.7%, 시설내처우 일반사범은 21.7% 사회내처우 약물사범 92.0%, 시설내처우 약물사범 95.1%가 약물을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약물유형 면에서는 향정신성의약품류 사용자가 534명으로 가장 많고,
- 등록일2006.04.07
- 출판일2005-12
- 저자강은영
- 페이지수0
- 조회수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