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절도범죄의 범행대상 선택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강ㆍ절도범들이 어떠한 주ㆍ객관적 상황에서 어떠한 기준으로 범행 대상을 선택하는지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방법론적으로는 합리적 선택이론의 모델을 참조하여 강ㆍ절도범들이 범행 대상 선택과정에서 과연 어느 정도까지 범행으로 인한 이득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어느 정도까지 범행 비용을 최소화하는지를 살펴보며, 더 나아가 연령이나 범죄 경력 같은 강ㆍ절도범의 주관적 조건에 따른 범행 대상 선택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범죄 이득의 극대화와 범죄 비용의 최소화가 항상 동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많은 경우에서 충돌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8개 교도소에 수용 중인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고, 부분적으로는 공식통계 자료를 통해 불충분한 부분들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강ㆍ절도범의 범행 대상 선택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침입 강ㆍ절도범의 범행 장소 선택에 관한 부분과 강ㆍ절도범의 피해자 선택이라는 두 가지 부분에 집중하였다. 그리고 강ㆍ절도범의 유형은 기본적인 수법의 차이에 따라 침입강도, 대인강도, 침입절도, 대인절도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침입 강ㆍ절도범들의 범행 장소 선택과 관련해서는 침입 강ㆍ절도범들이 1) 자신에게 친숙한 장소를 선택하는 정도, 2) 범행 지역에서 범행이 적발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정도, 3) 구체적인 침입 장소에서 침입이 용이한 정도를 알아보았다. 자신에게 친숙한 정도를 선택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만든 구체적 질문들은 범행 장소와 범죄자 거주지 사이의 근접성에 관한 질문, 평소 범죄자가 범행 장소에 자주 가본 정도에 관한 질문, 그리고 범행 장소와 범죄자 사이의 관련성에 관한 질문 등이고, 범행 지역에서 범행이 적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만든 구체적 질문들은 범행 장소 주변의 경찰 순찰 정도에 관한 질문, 범행 장소 주변 인적의 다소(多少)에 관한 질문, 범행 장소 주변 경비자의 존재 여부에 관한 질문 등이며, 구체적인 침입 장소에서 침입이 용이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만든 구체적 질문들은 침입 장소의 층수에 관한 질문, 침입 방법의 용이성에 관한 질문, 침입 장소 내 보안 설비의 유무에 관한 질문 등이다. 덧붙여서 침입 강ㆍ절도범에 대한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응답 결과가 범죄자의 주관적 판단과 경험 등에 의해서도 좌우될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범행 당시 강ㆍ절도범들의 연령, 범죄 경력, 범행 계획성, 체포에 대한 두려움, 과음 및 약물 복용 여부, 범행 대상 선택의 우선성에 대한 태도 등 여러 가지 변인들에 따라 그러한 응답 결과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강ㆍ절도범들의 피해자 선택과 관련해서는 비교적 간단하게 강ㆍ절도범의 피해자 선택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강ㆍ절도 피해자들의 성별과 연령층, 그리고 범행 당시 피해자의 음주 여부나 옷차림, 동태 등 당시 피해자들
- 등록일2005.04.03
- 출판일2004.12.29
- 저자
- 페이지수0
- 조회수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