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성폭력 가해자에 관한 연구
최근 들어 아동 성폭력 사건 보도가 증가하고, 아동 증언이나 수사 및 재판과정에서의 아동 보호문제가 쟁점화되면서 한국 사회에서도 이미 아동 성폭력 범죄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이제 아동과 가족을 보호하는 일은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여겨지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00년 발간된 아동 성학대 실태 보고서의 후속 연구로서, 아동 성폭력 범죄와 범죄자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이해를 얻는데 연구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형이 확정된 성폭력 범죄자들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아동 성폭력 범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아동 성폭력 범죄자의 유형별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성폭력 범죄자를 피해자의 연령에 따라 아동 대상 성폭력 가해자와 청소년 대상 성폭력 가해자, 성인 대상 성폭력 가해자의 세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의 성범죄의 특성과 가해자의 의식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아동 성폭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조사는 교도소, 보호관찰소, 소년원의 14개 교정보호시설에 수용, 또는 보호되고 있는 청소년과 성인 성폭력 범죄자 590명을 대상으로 기록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 성폭력 범죄의 일반적 특성
○ 처분 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대부분의 아동 성폭력 가해자는 형법보다는 가중처벌이 가능한 성폭력 특별법으로 처벌되고 있으며(78.5%), 죄명별로는 ‘13세미만의미성년자에대한강간’이 33.0%, ‘친족관계에의한강간’이 16.7%, ‘강간등상해․치상’이 12.6%, ‘특수강간’이 9.6%의 순으로 집계되었다. 경합범은 27.8%였고, 단독범 비율은 89.6%이다. 둘째, 처분 유형을 보면 무기징역이 0.4%, 유기징역과 보호감호가 3.0%, 유기징역이 67.1%, 징역, 집행유예, 보호관찰 처분이 12.1%이고, 보호처분이 17.3%이다. 유기징역 대상자의 형기는 3년 미만이 25.8%, 3년 이상이 30.1%로 5년 미만에 전체 아동 성폭력 범죄자의 약 56%가 집중되어있다. 5년 이상은 22.1%, 7년 이상이 17.2% 10년 이상이 4.3%이다.
○ 행위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아동 성폭력 가해자는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어서 3, 40대가 50% 정도이고, 5, 60대 역시 약 10%나 된다. 교육수준 면에서는 고졸이 가장 많아 37.3%, 중졸이 29.8%, 초등졸이 24.9%이며, 유배우자가 31.9%,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68.1%이다. 둘째, 가해자의 13.9%가 장애나 약물사용 경력이 있었고, 19.9%는 문신이, 17.3%는 성기변형을 하였다. 셋째, 범죄경력상으로는 65.3%가 전과가 있고, 26.8%는 이전에도 성폭력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폭력 전과 2회가 27.4%, 3회 이상이 16.1%이다. 또한 이들의 평균 체포횟수는 4.6회, 평균 실형 횟수는 2.0회, 평균 수감 기간은 4.2년이다.
○ 피해 아동의 특성은 첫째, 여자 아동이 96.2%인 반면
- 등록일2003.12.01
- 출판일2003.12.01
- 저자
- 페이지수0
- 조회수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