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중형주의 형사제재의 실효성에 관한 평가연구(Ⅱ)

  • 작성일2022.01.28
  • 조회수924

중형주의 형사제재의 실효성에 관한 평가연구(Ⅱ)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내부연구참여자,외부참여연구자,발행기관,공개여부,출판일,등록일,페이지,분류기호,언어,판매여부,판매가격,보고서유형,ISBN,표준분류,연구유형,자료유형
연구책임자 김지선 소속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내부연구참여자 김지선 외 4인 외부참여연구자
발행기관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공개여부 공개
출판일 2021년 12월 등록일 2022.01.28
페이지 528 분류기호 21-B-03
언어 한국어 판매여부 판매
판매가격 15,000원 보고서유형 일반연구보고서
ISBN 979-11-91565-22-5 표준분류 일반공공행정 및 공공안전 > 공공행정 및 공공안전일반
연구유형 정책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국문요약 1 제1장 (김지선) 서 론 27 제1절 연구목적과 의의 29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3 1. 연구내용 33 가. 현행 전자감독제도 개관 및 외국제도의 비교법적 검토 33 나. 전자감독제도의 운영과정 및 효과 관련 국내외 실증연구 검토 34 다. 전자감독 실시현황 및 대상자 특성 36 라. 전자감독제도의 운영실태 및 문제점 37 마. 전자감독의 효과 및 영향 40 바. 전자감독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입법적 및 실무적 개선방안 제시 41 2. 연구방법 41 가. 문헌연구 41 나. 공식통계 및 행정통계 자료 분석 41 다. 유사 실험설계 방법을 적용한 전자감독의 재범억제효과 분석 42 라. 전자감독 대상자 자료를 활용한 재범 요인 분석 45 마. 부착명령 청구 사건의 판결문에 대한 내용분석 46 바. 청구전조사 결과보고서에 대한 기록조사 47 아. 전자감독제도 관련 실무자 대상 FGI와 개별 심층면접 50 자. 전자감독 전담 보호관찰관 대상 설문조사 53 제2장 (김영중ㆍ김지선ㆍ최지선ㆍ성유리) 배경적 논의 61 제1절 현행 전자감독제도 개관 및 외국법제와의 비교 검토 63 1. 현행 전자감독제도 개관 63 가. 전자감독제도의 변화 63 나. 현행 전자감독제도의 형사사법단계별 유형과 특징 65 2. 형기종료 전자감독제도의 주요 내용 68 가. 부착명령 대상 특정 범죄 68 나. 부착기간 71 다. 피부착자에 대한 지도ㆍ감독 73 라. 피부착자의 의무와 의무 위반시 제재 74 마. 수신 자료 및 신상정보 관리 77 바. 부착명령 임시해제 79 사. 부착명령집행 종료 및 부착명령의 시효 80 아. 법무부장관의 경력조회 81 3. 형기종료 전자감독제도 관련 법적 쟁점 81 가. 형기종료 전자감독의 법적 성격 81 나. 준수사항의 법적 성격 및 한계 83 다. 법정형 기준 전자장치 부착기간 산정 85 라. 전자장치 부착에 있어서 재범위험성 판단 시점 86 마. 임시해제의 판단 주체 88 바. 수신 자료 공유 관련 법적 문제 89 4. 전자감독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90 가. 개요 90 나. 미국 92 다. 프랑스 95 라. 독일 99 마. 호주 100 바. 뉴질랜드 101 사. 영국 102 아. 시사점 104 제2절 전자감독 관련 선행연구 검토-조사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105 1. 전자감독의 효과 105 가. 전자감독의 재범억제효과 : 메타 분석 결과 105 나. 위치추적 전자감독의 재범억제 효과 : 개별연구 검토 111 2. 전자감독제도의 실행과 관련된 쟁점들 115 가. 전자장치 관련 기술의 품질과 오경보 115 나. 담당 직원의 업무강도와 스트레스 118 다. 대상자의 재범위험성 평가 121 라. 경찰과의 공조 126 3. 전자감독 대상자의 전자감독에 대한 경험과 인식 126 가. 전자장치 부착으로 인한 정서 문제 127 나. 처벌의 공정성 및 가혹함 129 다. 부과된 준수사항으로 인한 어려움 130 라. 소급적용 대상자의 저항 : 준수사항 위반과 장치 훼손 131 4. 전자감독제도에 대한 담당직원, 전문가 및 일반인의 인식 133 가. 담당직원의 인식 133 나. 전문가의 인식 134 다. 일반인의 인식 135 제3장 (김지선ㆍ최지선) 전자감독 실시현황 및 대상자 특성 139 제1절 전자감독 실시현황 141 1. 전자감독 선고 및 집행 현황 141 가. 법원과 위원회의 전자감독 선고 및 결정 현황 141 나. 보호관찰소의 전자감독 접수 및 실시사건 현황 144 2. 전자장치 부착기간 현황 153 가. 전체 전자감독 대상자의 부착기간 현황 153 나. 형기종료 전자감독 대상자의 부착기간 현황 155 3. 특별준수사항 부과 현황 158 제2절 전자감독 대상자의 특성 165 1.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165 2. 범죄경력 174 3. 본 건 범행관련 특성 174 제4장 (성유리ㆍ김지선) 전자감독제도 운영을 위한 물적ㆍ인적 조건 185 제1절 전자장치 및 운영시스템 187 1. 위치추적 전자장치와 통신 188 가. 기본 구성과 기능 요건 188 나. 통신 191 다. 우리나라의 전자장치 현황과 문제점 192 2. 전자감독 운영시스템 199 가. U-Guard 시스템 199 나.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 200 제2절 전자감독 운영 조직과 담당 인력 203 1. 운영조직과 인력배치 203 가. 조직구조와 업무분장 203 나. 관제센터와 전담인력 현황 207 2. 전담 직원의 업무경력과 교육 221 가. 담당직원의 업무경력 221 나. 담당직원 교육 현황 223 제5장 (김지선) 전자감독 실행과정Ⅰ: 전자장치 부착 및 임시해제 결정과 재범위험성 227 제1절 재범위험성 조사 및 평가 : 청구전조사 230 1. 청구전조사 의의 및 의뢰 현황 230 가. 청구전조사 의의 230 나. 검사의 청구전조사 의뢰 현황 231 2. 청구전조사의 내용 및 방법 233 가. 청구전조사의 내용 234 나. 조사방법 236 다. 조사업무 담당자 및 수행체계 253 제2절 전자장치 부착명령 청구 및 결정과정에서 재범위험성 판단 258 1. 검사의 부착명령 청구와 재범위험성 판단 258 가. 검사의 부착명령 청구요건과 청구현황 258 나. 재범위험성 평가 결과와 부착명령 청구 여부 261 2. 판사의 부착명령 결정과 재범위험성 판단 266 가. 부착명령 청구 인용 현황 267 나. 부착명령 청구 기각 및 인용 사유 268 다. 판사의 부착 결정 시 청구전조사 보고서의 활용 현황 277 제3절 임시해제 결정과정에서 재범위험성 판단 283 1. 임시해제 요건 및 절차와 의의 283 가. 임시해제의 요건 및 절차 283 나. 임시해제의 의의 284 2. 임시해제의 운영 현황 및 문제점 285 가. 신청주의 방식과 신청 시점의 문제 285 나. 결정기준 288 제6장 (최지선) 전자감독 실행 과정 II : 대상자 지도ㆍ감독과 위치추적감시기술의 활용 293 제1절 의무 및 준수사항 이행관리 295 1. 특별준수사항의 적정성과 실효성 295 가. 특별준수사항 부과의 적정성과 이행한계 295 나. 특별준수사항의 실효성 306 2. 의무 및 특별준수사항 위반 확인과 경보 역할 308 가. 경보발생 현황 308 나. 이관경보에 대한 처리 317 3. 특별준수사항 위반에 대한 처리 323 가. 서면경고 323 나. 특별준수사항 추가 변경 324 4. 경찰과의 공조 329 가. 훼손사건 발생과 처리 331 나. 경찰과의 공조와 특별사법경찰제도 336 제2절 대면 및 통신지도와 원호 342 1. 대면 및 통신지도 현황과 어려움 342 가. 대면 및 통신지도 현황 342 나. 지도ㆍ감독의 어려움 343 2. 원호 및 심리치료 348 가. 원호 348 나. 심리치료 등 353 3. 일대일 전자감독 357 제3절 지도ㆍ감독시 정보의 활용 363 1. 지도ㆍ감독시 위치추적정보의 활용 363 가. 위치추적정보에 대한 인식 363 나. 위치추적정보의 활용 수준 367 2. 지도ㆍ감독시 범죄징후 예측시스템 활용 369 가. 지도ㆍ감독시 정보의 활용 372 나. 범죄징후 예측시스템 활용 373 제7장 (성유리ㆍ최지선) 전자감독의 효과 377 제1절 전자감독의 재범 억제 효과 379 1. 전자감독의 재범억제효과: 피부착자 집단과 미부착자 집단 간 비교 379 가. 재범률에 미치는 효과 380 나. 재범시기에 미치는 효과 387 2. 전자감독 피부착자의 재범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0 가. 피부착자 중 재범집단과 비재범집단 간 특성 비교 393 나. 피부착자의 재범여부 및 재범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98 3. 전자감독 대상자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 403 제2절 전자감시기술이 보호관찰업무에 미치는 효과 404 1. 밀착 지도ㆍ감독 수단 404 2. 업무량과 업무 스트레스 408 가. 업무량에 대한 인식 408 나. 담당직원의 업무 위협 요인 410 다. 담당직원의 직무 스트레스 416 제3절 전자감독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담당직원의 의견 423 1. 담당직원의 개선방안 분석(IPA) 개요 423 2. 담당직원의 개선방안 중요도-실행정도 인식 425 3. 개선방안에 대한 IPA 결과 434 제8장 (김지선ㆍ김영중) 연구결과 요약 및 정책제언 44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443 1. 전자감독 실시 현황과 대상자 특성 443 가. 전자감독 실시 현황 443 나. 전자감독 대상자 특성 444 2. 전자감독제도의 기술적 기반과 인적 자원 현황 446 가. 전자감독의 기술적 기반 446 나. 조직 및 인력 447 3. 전자감독 대상자 선정 및 임시해제 결정 449 가. 재범위험성 조사 및 평가 449 나. 부착명령 청구 및 결정과정에서 재범위험성 판단 450 다. 임시해제 결정과정에서 재범위험성 고려 452 4. 대상자 지도ㆍ감독과 위치추적 전자감시 기술의 활용 453 가. 의무 및 특별준수사항 이행관리 453 나. 대면 및 통신지도와 원호 456 5. 전자감독의 효과 457 가. 전자감독이 대상자에게 미치는 효과와 영향 457 나. 전자감독이 보호관찰업무에 미치는 영향 459 다. 전자감독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담당직원의 의견 460 제2절 정책제언 461 1. 재범위험성에 기반을 둔 형기종료 전자감독제도 운영 461 가. 재범위험성 평가절차 및 방식 개선 461 나. 재범위험성 평가도구 개선 464 다. 부착 결정 과정에서의 재범위험성 고려 464 라. 임시해제 운영과정 개선 및 명확한 결정기준 마련 468 2. 특별준수사항 부과 및 위반자 관리체계 개선 469 가. 대상자의 범죄유발적 원인 개선에 초점을 맞춘 특별준수사항 부과 469 나. 특별준수사항 위반에 대한 점진적ㆍ단계적 제재 마련 473 3. 효과적 제도 실행을 위한 인프라 구축 474 가. 기술적ㆍ인적 기반 구축 474 나. 관련 기관과의 공조체계 구축 478 참고문헌 481 Abstract 499 부록 507

첨부파일
  • pdf 첨부파일 21-B-03 중형주의 형사제재의 실효성에 관한 평가연구(Ⅱ)_내지 최종.pdf (9.03MB / 다운로드 584회) 다운로드
  • 전체다운로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TOP